월급 (15) 썸네일형 리스트형 슬럼프가 왔다 지난 금요일. 회의 직전에 난 혼자 신이 난 상태였다. 회사로 돌아갔다 나온 이후 처음으로 주말에 '해야 하는 일'이 아니라 '하고 싶은 일'을 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이었다. 그런데 회의 중간에 논문 개재 탈락 이메일을 받았고, 그 때문인지는 분명하지 않지만 그때부터 슬럼프를 겪게 되었다. 브런치에 글을 쓰지 못한 것도 그 때문이었다. '이럴 땐 모든 걸 다 놔버려야 해. 마침 마감이 급한 것도 없잖아'라고 마음먹었다. 마감을 맞춰야 하는 일들만 하고, 나머지 시간은 멍을 때리면서 보냈다. 지난 1년을 돌아보면서. 그 과정에서 깨달았다. 내게 약간의 시간과 공백이 허락되자마자 내가 슬럼프에 빠진 이유에 대해서 말이다. 그리고 그 시발점은 논문 개재 탈락이라는 사실도, 그제야 깨달았다. 로스쿨을 다니다 .. 돈이 안되는 일을 하는 이유 여기에서 '돈이 안 되는 일'은 '돈을 받지 않고 하는 일'이 아니라 내가 일하는 것에 비해서 훨씬 돈을 적게 받는 일을 의미한다. 프리랜서들의 기준에서 그런 의미의 '돈이 안 되는 '은 내가 같은 시간과 에너지를 썼을 때 보통 받을 금액보다 단가가 더 낮은 프로젝트나 건수를 의미하는데, 그건 개인에 따라 천차만별일 수 있다. 어떤 이들은 장당 10만 원이 '돈이 안 되는 일'일 수도 있지만, 다른 사람들에겐 장당 5만 원을 받는 일도 '큰돈'일 수 있다. 지금 내가 하는 일들 중에는 내 단가를 기준으로 '돈이 안 되는 일'이 있다. 그 일은 다른 일들보다 받는 금액은 50% 수준인데, 내가 갖고 있는 전문성도 더 많이 투여되고 최근에는 쓰게 되는 시간도 점점 늘어나고 있다. 사실 의리와 기회의 차원에서.. 난 글을 그냥 쓰는 줄 알았다. 글을 잘 쓰는 편은 아니지만, 글 쓰는 게 어려웠던 적은 없었던 편이었다. 브런치에서 글을 많이 쓸 수 있었던 것도 그 때문이다. 술은 해야 할 때만 하고, 담배는 아예 피우지 않으며, 이상하게도 어렸을 때부터 게임은 하지 않아 왔기에 난 내가 생각하고 글을 쓰는 게 스트레스 해소 방법인 동시에 취미 비슷한 것이라고 항상 생각해 왔다. 글쓰기가 특기는 아니어도 취미는 될 수 있지 않을까? 그런데 어쩌면 그 생각도 오만이었다는 생각이 지지난주에 회사를 그만두고, 다시 프리랜서로 돌아와서 들더라. 글 쓰는 게 어려웠다. 겨우 3개월 정도 글을 꾸준히 쓰지 못했을 뿐인데 내 머리도 손도 녹슬어 있더라. 그리고 프리랜서로 하는 일들이 엄청 밀려 있으니 브런치에서 쓰고 싶은 글들은 잡히지가 않더라. 그러면서 처음.. 프리랜서에게 사람이란? 연락이 조금 늦어지던, 기다렸던 연락을 줬던 일감에 대한 연락이 왔다. 그 회사를 방문해서 계약조건에 대한 논의를 했고, 원래 금전적인 보상이 1순위가 아니었기에 아무런 무리 없이 얘기가 수월하게 오갔다. 그리고 내가 할 업무에 대한 브리핑을 듣는데 폴더에 내 이름이 이미 있었다. 나: 뭐야? 나 이미 업무 할당되어 있던 거야? A: 그럼요. 뭐라고 생각했어요? 나: 난 계약이 안될 수도 있다고 생각했는데? A: 무슨 소리예요. 00 없으면 안 되는 상황인데. 그렇다. A는 이미 내게 일을 주기로 했지만, 조건이 어떻게 맞춰질 수 있을지를 몰라 확답을 주지 않고 있었던 것이다. 고마웠다. 나를 이렇게까지 믿어주는 사람이 있다는 사실이. 프리랜서에게 이렇게까지 본인을 믿어주는 사람이 있다는 것만큼 고마운 .. 다시 프리랜서가 되다 원래 고민을 짧고 굵게 하는 편이다. 고려할 수 있는 모든 변수들을 감안했을 때, 내가 어떤 결정을 했을 경우 그 후에 일어날 수 있는 일들을 계산해 보고, 더 이상 고려할 변수가 없다고 판단되거나 나머지 부분은 알 수 없다고 판단되면 그 시점에 결정을 한다. 내 인생의 모든 결정에 있어서 그 패턴은 변한 적이 없다. 심지어는 감정의 영역이 큰 연애의 시작과 끝에서도. 고민의 시작은 2-3주 전이었던 것 같다. 내 개인 영역에서 해야 하는 일은커녕 브런치에서도 제대로 글을 쓰지 못할 정도로 일이 많아지면서 '내가 평생 업으로 삼을 일이 아닌 걸 계속 이렇게 해야 하나?'란 회의가 들더라. 그래서 어떻게든 회사 안에서 내 색을 입히고, 내가 의미를 찾을 수 있으면서 회사에도 도움이 된다고 판단되는 일을 해.. 그럼에도 불구하고 프리랜서 어쩌다 보니 프리랜서의 일상생활 시리즈 몇 개가 비관적이고 부정적인 뉘앙스를 띄었다. 그건 아마 내가 힘들었기 때문일 것이다. 주말을 계속 반납하고, 회사에 다시 나가면서도 업무시간에 합법적으로(?) 내 프리랜서 일로 자리를 비워도 되는 독특한 회사생활을 병행하다 보니 합법적이긴 해도 눈치가 보이는 하루, 하루를 보내고 있기 때문에. 그리고 '완전한' 자유를 포기하고 생활의 일부를 구속된 삶을 산 지가 한 달도 지나지 않았기 때문에. 하지만 회사원 같은 생활과 프리랜서의 생활을 병행하는 과정에서 나는 다시 한번 느낀다. 난 프리랜서가 더 체질이라는 사실을. 어떤 이들은 내가 회사원 같은 생활이 삶의 패턴에 들어오면서 그렇게 느꼈을 것이라 생각할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건 그렇지 않다. 이는 지금의 내 회사.. 완전한 프리랜서로의 복귀? 회사원과 프리랜서의 삶을 병행하고 있다. '겸업'을 허용받고. 내가 조금 더 피곤하기로, 주말에도 일을 하기로 마음먹고 한 결정이다. 그 덕분에 난 4대 보험을 보장받고, 월 수입의 하한선도 숨 쉴 수 있을 수준으로 보장되었고 다른 사람들과 함께 일하면서 꽤나 만족스러운 나날을 보내고 있다. 물론, 처음 얘기할 때보다 내게 더 많은 일이 주어졌고, 그로 인해 브런치 글은 물론이고 개인적인 일들도 늘어지고 있긴 하지만 말이다. 그런데 최근 몇 주 동안 다시 완전한 프리랜서로 돌아가야 하는 것인지에 대해 고민을 하기 시작했다. 그 고민을 하게 된 가장 큰 이유는, 아무래도 회사원적인 일을 하다 보면 내가 결정할 수 없는 일이 자주 발생하고 대표가 나의 편의를 봐주고 있단 것을 알기에 더 들어오는 일을 쳐낼 .. 첫 직장은 중요하다 첫 직장. 꼭 회사가 아니더라도 첫 사회생활을 어떻게 했는지는 생각보다 중요하다. 내가 일하는 패턴을 돌아보면서도 그렇게 생각했는데, 외부 프리랜서일을 함과 동시에 회사 속에서 일하고 있는 상황에서 그 생각은 점점 강화된다. 이직을 생각하는 사람들은 그저 '스펙'으로서 이전 직장경력이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실제로 그렇게 작용하는 면도 있겠지만 그 시작은 특정 회사 출신들이 특정하게 일하는 '쪼'가 있음을 사람들이 느꼈기 때문일 것이다. 내 첫 사회생활은 학부시절에 시작되었다. 홍보대행사에서 일을 받아서 글 쓰고, 사진 찍고, 영상을 찍었다. 그 외에도 혼자서 콘텐츠 만드는 작업과 학원강사를 1년 여동안 병행했다. 학교생활과 함께. 가끔씩은 조직 안에서의 삶이, 심지어 구글 안에서의 6개월도 힘들었던 건 .. 이전 1 2 다음